가나의 대통령은 1960년 공화국 수립 이후 가나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다. 1957년 독립 당시에는 영국 군주가 국가 원수였으나, 1960년 7월 1일 공화제 채택과 함께 대통령제가 시작되었다. 초대 대통령은 콰메 은크루마였으며, 이후 군사 쿠데타와 민주 정부 수립을 거치며 여러 대통령이 재임했다. 현재는 나나 아쿠포아도가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며, 대통령은 4년 임기에 최대 2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나의 대통령 - 콰메 은크루마 콰메 은크루마는 가나의 독립을 이끈 첫 번째 대통령이자 흑인 민족주의와 범아프리카주의에 기반한 정치 활동으로 아프리카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와 경제 정책 실패로 쿠데타로 실각하여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가나의 대통령 - 조지프 아서 안크라 조지프 아서 안크라는 가나 최초의 아프리카계 장교이자 가나인 사령관으로, 콩고민주공화국 여단 사령관으로 복무 중 훈장을 받았으며, 쿠데타 연루 혐의로 해임 후 국가원수가 되었지만 뇌물 스캔들로 사임한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나의 총독은 가나에서 군주의 대리인이었으며 군주의 권한 대부분을 행사했다.[5] 총독은 무기한 임기로 임명되었으며 군주의 재량에 따라 복무했다. 가나는 반자치 자유령으로 처음 설립된 후 웨스트민스터 헌장 1931에 의해 독립으로 승격되기보다는 가나 독립법 1957에 의해 독립을 부여받았으므로,[6] 총독은 영국 정부의 개입 없이 오로지 가나 내각의 자문만을 받아 임명되어야 했다. 유일한 예외는 전 식민지 총독인 찰스 아덴-클라크(Charles Arden-Clarke)였는데, 그는 윌리엄 헤어(William Hare)로 교체될 때까지 임시로 총독으로 재임했다.[7] 공석이 발생할 경우 가나 대법원장이 정부 관리자로 재임했다.[8]
1960년 공화국으로 출범한 가나는 대통령을 국가 원수로 하는 대통령제를 채택했다. 가나의 대통령은 시대별로 변화를 겪어왔다.
콰메 은크루마는 1960년 7월 1일 가나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제1공화국을 이끌었다. 그는 컨벤션 인민당 소속으로, 1966년 2월 24일 쿠데타로 축출될 때까지 재임했다. 은크루마는 아프리카 민족주의를 주창하며 가나의 독립과 발전을 위해 노력했지만,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66년 쿠데타 이후, 조지프 아서 안크라가 국가 해방 평의회 의장으로서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군인 출신으로 1969년 4월 2일까지 재임했다. 안크라 이후에는 아콰시 아프리파가 1969년 4월 2일부터 1970년 8월 7일까지 국가 원수직을 맡았다.
1969년 9월 3일 아프리파 준장이 대통령 위원회 의장으로 취임하며 제2공화국이 시작되었다. 1970년 8월 7일에는 니 아마 올렌누가 잠시 대통령직을 대행했으며, 같은 해 8월 31일 에드워드 아쿠포아도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하지만 1972년 1월 13일 쿠데타로 인해 제2공화국은 막을 내렸다.
이그나티우스 쿠투 아체암퐁은 쿠데타를 일으켜 아쿠포아도 대통령을 축출하고 정권을 잡았다. 이후 프레드 아쿠포가 아체암퐁을 몰아냈지만, 1979년 제리 롤링스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면서 군사정권이 이어졌다. 롤링스는 1979년 6월 4일부터 9월 24일까지 국가 원수로서 통치했다.
1979년 9월 24일, 힐라 리만이 대통령으로 취임하며 제3공화국이 시작되었으나, 1981년 12월 31일 제리 롤링스의 쿠데타로 다시 군사정권이 들어섰다.
1993년 1월 7일, 가나는 제4공화국을 맞이하며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했다. 대통령은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4년 임기에 최대 두 번까지 연임이 가능하다.[13][17][18]
제리 롤링스는 1992년과 1996년 선거에서 승리하여 1993년부터 2001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국민민주회의 소속으로,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잡았지만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정권을 이양하며 가나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졌다.
존 쿠푸오르는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며 신애국당 소속으로 자유시장 경제 정책을 추진했다.
존 아타 밀스는 2009년부터 2012년 사망할 때까지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NDC 소속으로 사회 복지 정책을 강화했다.
존 드라마니 마하마는 밀스 대통령의 사망 후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나나 아쿠포아도는 2017년부터 현재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NPP 소속인 그는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 선거에서도 승리하여 재선에 성공했다.
가나는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13][17] 대통령은 직접 선출되며, 4년 임기로 다음 총선에서 임기가 만료된다. 대통령은 최대 두 번까지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18] 공석이 발생하면 부통령이 남은 기간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한다.[18] 대통령은 국무위원(총리 직책 없음)을 임명할 수 있으며, 임명 후에는 국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또한 군의 최고 지휘권, 국제 조약 집행권, 사면권, 그리고 경우에 따라 국가 긴급권 등도 행사한다. 대통령 산하에는 '''국가평의회'''가 존재하며, 대통령에 대한 자문 기관 역할을 한다.
3. 1. 선출 규정
헌법에 따라 가나의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다.[13][17] 대통령은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임기는 4년으로 다음 총선 때 만료된다. 대통령은 최대 2번까지만 연임할 수 있다. 대통령의 공석 발생 시, 부통령이 남은 임기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한다.[18]
대통령 후보는 40세 이상의 가나 시민이어야 하며, 가나에서 태어났거나 부모 중 한 명이 가나에서 태어난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대통령 후보는 부통령 후보를 지명해야 한다. 선거는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가 함께 치른다.
3. 2. 권한
가나는 대통령제 공화국으로,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다.[13][17] 대통령은 직접 선출되며, 4년 임기로 다음 총선에서 임기가 만료된다. 대통령은 최대 두 번까지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18] 공석이 발생하면 부통령이 남은 기간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한다.[18]
대통령은 국무위원(총리 직책 없음)을 임명할 수 있으며, 임명 후에는 국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또한 군의 최고 지휘권, 국제 조약 집행권, 사면권, 그리고 경우에 따라 국가 긴급권 등도 행사한다.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으로서 가나의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국무위원 임명권은 대통령이 자신의 정책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수단이다.
대통령 산하에는 '''국가평의회'''가 존재하며, 대통령에 대한 자문 기관 역할을 한다. 국가평의회는 대통령의 정책 결정에 중요한 조언을 제공하며, 가나의 안정적인 발전에 기여한다.
나나 아쿠포-아도 대통령
3. 3. 제1공화국 (1960년~1966년)
1960년 가나 공화국 최초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군주를 대신하여 국가의 행정 수반이 되었다.[9] 대통령은 의회에서 5년 임기로 선출되었다. 공석이 발생할 경우, 내각 구성원 3명이 공동으로 대행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1969년 9월 3일, 아콰시 아프리파 준장이 대통령 위원회 의장으로 취임하며 제2공화국이 시작되었다. 아프리파는 군부 출신으로, 1970년 8월 7일까지 재임했다.
1970년 8월 7일, 니 아마 올레누가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1970년 8월 31일까지 짧은 기간 동안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그는 무소속이었다.
1970년 8월 31일, 에드워드 아쿠포-아도가 대통령이 되었다. 아쿠포-아도 역시 무소속이었으며, 부시아 총리와 함께 정부를 이끌었다. 그러나 1972년 1월 13일, 쿠데타로 축출되며 제2공화국은 막을 내렸다.
3. 6. 군사 정권 (1972년~1979년)
이그나티우스 쿠투 아쳄퐁 장군은 쿠데타를 일으켜 아쿠포-아도 대통령, 아브레파 부시아 총리와 그의 정부를 전복시켰으며, 모든 정당과 의회를 해산했다.[10] 아쳄퐁 장군의 독재는 가나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프레드 아쿠포 중장은 궁정 쿠데타를 일으켜 아쳄퐁 장군을 전복시켰다.[11] 그러나 아쿠포의 집권 역시 불안정했으며, 결국 제리 로울링스 공군 소위가 최고 군사 평의회를 전복시키는 쿠데타를 일으켰다.[12] 로울링스의 쿠데타는 가나의 정치적 혼란을 더욱 심화시켰다.
번호
초상화
이름
재임 기간
정당
취임
퇴임
재임 기간
5
이그나티우스 쿠투 아쳄퐁 장군
1972년 1월 13일
1978년 7월 5일
6년 5개월
군
6
프레드 아쿠포 중장
1978년 7월 5일
1979년 6월 4일
11개월
군
7
제리 로울링스 공군 소위
1979년 6월 4일
1979년 9월 24일
3개월
군
3. 7. 제3공화국 (1979년~1981년)
힐라 리만은 1979년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제3공화국을 출범시켰다. 리만 정부는 경제적 어려움과 정치적 불안정에 직면했다. 그는 콰메 은크루마의 정책과는 다른 자유 시장 경제 정책을 추진하려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81년 12월 31일, 제리 존 롤링스가 이끄는 군사 쿠데타로 인해 리만 정부는 전복되었다. 이 쿠데타는 가나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켰고, 롤링스는 이후 국가원수로서 권력을 장악했다. 리만은 쿠데타 이후 투옥되었고, 1983년에 석방되었다. 그의 정부는 가나 역사상 짧게 존속한 민간 정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3. 8. 군사 정권 (1981년~1993년)
제리 로울링스 공군 중위는 쿠데타를 일으켜 리만 대통령과 그의 정부를 전복시키고 모든 정당과 의회를 해산했다.[15][16]
1993년, 가나는 제4공화국을 시작하며 민주주의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으로서,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어 4년 임기를 수행하며 최대 두 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13][17][18]
제리 로울링스는 1992년과 1996년 선거에서 승리하며 1993년부터 2001년까지 가나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군사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았지만, 이후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정권을 이양하며 가나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가나는 정치적 안정과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이는 주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존 쿠푸오르는 2000년과 2004년 선거에서 승리하여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NPP 소속인 그는 자유시장 경제 정책을 추진하며 가나의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 특히, 금 수출을 장려하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가나 경제의 다변화를 시도했다. 하지만 빈부격차 심화와 부정부패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했다.
존 아타 밀스는 2008년 선거에서 승리하여 2009년부터 2012년 사망할 때까지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NDC 소속인 그는 사회 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교육 및 의료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은 가나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지만, 그의 정책들은 이후 가나의 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존 드라마니 마하마는 밀스 대통령의 사망 후 부통령으로서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 2012년 선거에서 승리한 그는 경제 성장과 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특히, 인프라 구축과 교육 분야에 집중 투자하여 가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했다.
나나 아쿠포-아도는 2016년과 2020년 선거에서 승리하여 2017년부터 현재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NPP 소속인 그는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헌법에 따르면 현재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다.[13][17] 대통령은 직접 선출되며, 다음 총선에서 임기가 만료되는 4년 임기를 수행한다. 대통령은 최대 두 번까지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 공석이 발생하면 부통령이 남은 기간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한다.[18]
파일:Flag of the Governor-General of Ghana (1957-1960).svg|가나 총독의 기
파일:Presidential Standard of Ghana.svg|대통령 기
참조
[1]
서적
Independence, Coups, and the Republic, 1957–present
Duk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Magnum Photos
https://pro.magnumph[...]
2020-05-26
[3]
웹사이트
Magnum Photos
https://pro.magnumph[...]
2020-05-26
[4]
웹사이트
Ghana – INDEPENDENT GHANA
http://countrystudie[...]
2020-05-26
[5]
간행물
That ubiquitous monarch
2018-07-19
[6]
서적
Ghana
Routledge
2019-04-30
[7]
서적
Lewis, Sir Allen (Montgomery), (26 Oct. 1909–18 Feb. 1993), Governor-General of St Lucia, 1982–87 (first Governor-General, 1979–80; Governor, 1974–79)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8]
간행물
Constitutional autochthony and the invention and survival of "absolute presidentialism" in postcolonial Africa
https://www.elgaronl[...]
2013-07-30
[9]
간행물
Part Two The Iowa Constitution and Commentary, Art.IV Executive Department
2018-02-09
[10]
서적
Busia, Dr. Kofi Abrefa, (11 July 1913–28 Aug. 1978), Prime Minister of Ghana, 1969–72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11]
서적
Akuffo, Fr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2-08
[12]
서적
Ghana and the Rawlings factor
Macmillan
1992
[13]
서적
Ghana, Republic of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4]
서적
Transitional justice in Ghana an appraisal of the National Reconciliation Commission
T.M.C. Asser Press
2020
[15]
서적
Ghana under the PNDC rule
CODESRIA
1993
[16]
서적
Development and Reform under Military Rule
Palgrave Macmillan UK
1993
[17]
간행물
Ghana - Constitution & Politics
[18]
간행물
Ghana - Constitution & Politics
[19]
서적
Missionary Zeal and Institutional Control: Organizational Contradictions in the Basel Mission on the Gold Coast 1828-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5-22
[20]
웹사이트
Top 15 Highest Paid African Presidents 2017
http://www.africaran[...]
2016-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